이사할때 공과금 정산 전기 도시가스 수도요금 고객센터 납부방법
벚꽃이 피고지면서 따뜻한 봄을 지내시고 계실텐데요 봄은 이사철로써 많은 분들이 이사하기를 희망하는 계절입니다 이사할때는 여러가지로 신경써야할 부분들이 많기때문에 바쁠수밖에 없습니다 바쁘다고 할지라도 꼭 해야하는것이 있는데요 바로 공과금들을 정산하는 일입니다
공과금으로는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 수도요금 으로 크게 3종류로 나누어지고있는데 정산이하는 방법들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니 "이사할때 공과금 정산 전기 도시가스 수도요금 고객센터 납부방법" 이라는 제목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리비 내역확인
정산방법을 알아보기전 먼저 확인해야하는것이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공과금이 관리비에 포함되어져있는지 확인하여야하는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단지의 크기나 주거형태에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어떻게 차이가 있을까요?
●주거형태별 공과금 관리비 포함내역
대부분의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등 : 전기세, 수도세
대부분의 세대수가 작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빌라 등등 : X
※단지가 크다고 꼭 관리비에 전기세나 수도세가 포함되어져있는게 아닐수도있으며 단지가 작다고하여 포함이 무조건 안되어있지 않을수있으니 꼭 관리비내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관리비에 공과금이 포함되어져 있을수도있고 포함되어져 있지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관리비 내역확인을 하여 공과금이 관리비에 포함되어져있는지 확인한다음 관리비에 포함되어져있다면 관리사무실에서 정산납부가 가능합니다
단지상관없이 가스비는 관리비에 포함되어져있지않으니 가스비는 직접 정산하셔야합니다
전기요금 정산하기
전기는 한국에서 한국전력공사에서만 담당을 하기때문에 한국전력공사 즉, 한전에서 정산을 할수있습니다
●정산방법
☞ 온라인정산
☞ 고객센터 전화정산
온라인으로 정산하기
1. N사 검색창에 " 한전ON" or "한전온" 검색한후 클릭
2. 홈화면에 있는 "이사정산" 클릭
※ 여기서 "계량기 지침확인" 클릭을 클릭하여 계량기 보는방법을 알수있습니다
3. "이사요금 정산신청" 클릭
4. 계량기 검침숫자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여기까지 하면 추가적으로 입력란들을 입력해주시고 결제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고객센터 전화정산
1. 국번없이 123번 전화연결하기
2. 계량기 숫자 말해주기
3. 납부방법 정하기 및 납부
4. 자동이체 해제요청
수도요금 정산하기
상수도를 관리하는 사업소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때문에 지역 상수도사업본부에서 정산을 할수있습니다
●정산방법
☞ 고객센터정산
☞ 온라인정산
고객센터로 정산하기
지역별 고객센터 전화번호 (지역번호+120or121)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02-120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32-120
대전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42-121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2-120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1-120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53-120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062-121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0577-0600
위의 지역에 맞는 고객센터 번호로 전화하여 수도요금을 정산할수있습니다
1. 주소와 계량기 검침숫자를 말하고 확인합니다
2. 금액확인후 납부안내를 받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3. 자동이체를 해지하셔야합니다
온라인으로 정산하기
온라인정산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니 관할 상수도사업부에 확인한다음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가스요금 정산하기
도시가스는 지역별 관할 고객센터가 다르므로 지역별 고객센터번호를 먼저확인하셔야합니다
지역별 관할 고객센터번호 확인방법
1. N사 "한국도시가스협회" 검색후 홈페이지 클릭
2. 홈화면에서 "고객센터찾기" 클릭
3. 해당지역 클릭후 고객센터번호 확인할것
도시가스는 당일정산처리를 할수없으며 기사님이 방문하여 검침을 해주고 정산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미리 방문예약을 잡아야합니다 보통 방문예약은 1~2일전에 미리잡아두어야 합니다